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47

스프링 클라우드란? 스프링 클라우드란 무엇인가요?스프링 클라우드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native)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란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독립적인 작은 서비스로 나누어 각각의 서비스가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설계 방식입니다. 스프링 클라우드는 이러한 분산된 서비스들이 원활하게 동작하고 통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와 라이브러리 모음을 제공합니다. 스프링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이유는?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도입하면 각각의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배포되고 실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개의 서비스가 서로 통신하고 협력해야 하므로.. 2024. 11. 7.
List 정렬과 Comparator/Comparable 인터페이스 활용 Java에서 리스트나 컬렉션 내 요소를 정렬하는 것은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컬렉션의 요소가 기본적으로 정렬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인터페이스, Comparable과 Comparator,를 사용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단순한 정렬부터 복잡한 다중 필드 정렬까지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이 두 인터페이스를 비교하고, Java 8 이후의 기능 확장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1. Comparable 인터페이스Comparable 인터페이스는 객체 자체에 정렬 기준을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즉, 객체에 내장된 정렬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mparable 인터페이스는 단일 정렬 기준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간단한 정렬 작업에 적합합니다.구현 방법:클래스에 Compa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합니다.. 2024. 11. 6.
List와 배열 간의 상호 변환 프로그래밍에서 배열(Array)과 리스트(List)는 매우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배열은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메모리 효율성이 뛰어난 반면, 리스트는 크기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 더 유연합니다. 이 두 자료구조는 상황에 따라 서로 변환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열을 리스트로 변환하기: Arrays.asList()배열을 리스트로 변환할 때 자주 사용되는 메서드는 Arrays.asList()입니다. 이 메서드는 간단히 배열을 리스트로 바꾸지만, 몇 가지 주의점이 있습니다.기본 사용법String[] array = {"Java", "Python", "C++"};List list = Arrays.asList(array);Sy.. 2024. 11. 4.
List의 효율적인 탐색 및 수정 방법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리스트(List)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접근하는 데 많이 사용됩니다. 리스트를 탐색하고 수정하는 방법에는 forEach, Iterator, ListIterator 같은 다양한 메서드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방법을 코드 예시와 함께 설명하고, ListIterator의 심화 개념인 양방향 탐색과 요소 추가/삭제 기능에 대해 상세히 다룹니다. 1. forEach를 이용한 리스트 탐색Java 8에서 추가된 forEach 메서드는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은 코드로 리스트를 탐색하는 데 유용합니다. 내부적으로 Consumer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각 요소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단, forEach는 단방향 탐색만 가능하며, 리스트의 크기나 구조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코드 예시im.. 2024. 11. 1.
집합을 이용한 데이터 분할: 효율적인 데이터 나누기 방법 데이터 분석이나 머신러닝을 수행할 때, 데이터를 적절하게 분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학습용 데이터와 테스트용 데이터를 나누어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 데이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분할 방식이 활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집합(set) 자료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분할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위한 간단한 예제 코드를 소개합니다. 집합(Set)의 특징과 장점파이썬에서 **집합(set)**은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데이터 중복을 쉽게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체 데이터에서 학습용 데이터와 테스트용 데이터를 중복 없이 나누고자 할 때 집합을 사용하면 매우 편리합니다.집합을 이용한 데이터 분할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 2024. 10. 31.
멀티스레드 환경에서의 리스트 동기화: Collections.synchronizedList()와 CopyOnWriteArrayList 비교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리스트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스레드 간 동기화가 필요합니다. Java에서 동기화된 리스트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Collections.synchronizedList()와 CopyOnWriteArrayList가 있습니다. 두 방법 모두 스레드 안전성을 제공하지만, 동작 방식과 성능 면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방법의 차이점과 사용법을 설명하고, 동기화 방식의 성능 이슈와 최적화 방법을 코드 예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Collections.synchronizedList()Collections.synchronizedList()는 기존의 리스트를 감싸서 동기화된 리스트를 제공합니다. 즉, 리스트 객체의 모든 메소드가 동기화되어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할 때 안전성.. 2024. 10. 30.
자바에서 불변 리스트(Immutable List) 만들기: 멀티스레드 환경에서의 활용과 중요성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불변 객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불변 객체는 한 번 생성되면 상태가 변하지 않으므로, 여러 스레드에서 동시에 접근하더라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불변성을 가지는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과, 불변 객체가 가지는 이점을 이번 글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불변 리스트가 필요한 이유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객체에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떤 스레드가 리스트의 데이터를 수정하면 다른 스레드는 그 변경 사항을 알지 못해 데이터 불일치나 예기치 않은 버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를 방지하려면 데이터의 상태를 유지하는 불변 객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불변 객체는 한 번 생성된 이후에는 절대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스레드 안전성이 자연스럽게 확보됩니.. 2024. 10. 29.
Java Stream을 사용한 리스트 처리 예제 Java 8의 등장과 함께 소개된 Stream API는 컬렉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변환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Stream을 사용하면 코드가 간결해지며, 컬렉션 데이터를 반복 처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고,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살릴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Stream API를 활용한 리스트 필터링, 매핑, 정렬 등의 간단한 예제와 함께 병렬 스트림을 사용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Stream API의 기본 개념Stream은 데이터의 흐름을 추상화한 개념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거나 변환할 때 각 요소에 대해 선언적으로 정의할 수 있게 해줍니다. Stream은 **데이터 소스(컬렉션, 배열 등)**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중간 연산(filte.. 2024. 10. 23.
List, Set, Map의 차이점 및 사용 예시 데이터 구조는 프로그램의 성능과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List, Set, Map은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차이를 이해하면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1. List, Set, Map의 차이점데이터 구조중복 허용 여부순서 보장 여부주요 사용 케이스데이터 구조중복 허용 여부순서 보장 여부주요 사용 케이스List허용순서 보장순서가 중요한 데이터 저장Set허용 안함순서 보장 안됨 (단, LinkedHashSet, TreeSet은 예외)중복을 제거한 고유 값 저장Map키는 중복 안됨, 값은 중복 허용키에 대한 순서는 보장 안됨 (단, LinkedHashMap, TreeMap은 예외)키-값 쌍으로 데이터 저장List: 순서가 중요한 경우 사용되며, 중복된 값도 허용됩니다. .. 2024. 10. 19.
리스트를 사용하는 다양한 알고리즘 구현 리스트는 알고리즘 구현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데이터 구조 중 하나입니다. 특히, 정렬 알고리즘과 검색 알고리즘은 리스트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ArrayList를 활용해 대표적인 정렬 알고리즘인 QuickSort와 MergeSort를 구현하고, 두 알고리즘의 성능 및 시간 복잡도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정렬 알고리즘 개요1.1 QuickSort (퀵 정렬)QuickSort는 분할 정복 방법을 사용한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입니다. 리스트에서 기준이 되는 **피벗(Pivot)**을 선택하고, 피벗을 기준으로 작은 값들은 왼쪽, 큰 값들은 오른쪽에 배치한 후 재귀적으로 정렬합니다.시간 복잡도평균: O(n log n)최악: O(n²) (이미 정렬된 경우 피벗이 항상 가장 큰 값이나.. 2024. 10. 17.
Java ArrayList와 LinkedList의 차이점 및 성능 비교 Java에서 ArrayList와 LinkedList는 모두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이지만, 내부 구조와 성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 두 클래스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ArrayList와 LinkedList의 차이점과 성능 비교를 설명하고, 각각의 사용 예제를 알아보겠습니다.1. ArrayList vs LinkedList의 차이점1.1 내부 구조ArrayList: 내부적으로 **동적 배열(Dynamic Array)**을 사용합니다. 배열은 고정된 크기이지만, ArrayList는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하면서 요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배열 기반이므로 인덱스를 이용한 요소 접근이 빠릅니다.LinkedList: 내부적으로 **이중 연결 .. 2024. 10. 15.
IntelliJ IDEA 라이브 템플릿 단축어 모음: 빠른 코딩을 위한 필수 팁! 코딩을 하다 보면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코드들이 많습니다. 특히 자바 개발을 하다 보면 자주 사용하는 패턴이나 문법을 일일이 입력하기보다, 자동완성 기능을 활용해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ntelliJ IDEA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템플릿(Live Templates) 기능은 이를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라이브 템플릿은 특정한 단축어를 입력하고 Tab 또는 Enter 키를 누르면, 자주 사용하는 코드가 자동으로 확장되어 더 빠르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IntelliJ IDEA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라이브 템플릿 단축어들을 소개하겠습니다. 1. sout: System.out.println()의 단축키System.out.println();을 일일이 작성하지 않고, sout을 입력하.. 2024. 10.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