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파일 입출력은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파이썬은 다양한 파일 입출력 기능을 제공하며, 이 중 텍스트 파일과 이진 파일에 대한 입출력을 살펴보겠습니다.
텍스트 파일 입출력
파일 열기 및 닫기
텍스트 파일을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파일을 열어야 합니다. open() 함수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고, 작업이 끝나면 close() 함수로 파일을 닫습니다.
# 파일 열기
file = open("example.txt", "r") # "r"은 읽기 모드를 나타냄
# 파일에서 데이터 읽기
data = file.read()
print("텍스트 파일 내용:", data)
# 파일 닫기
file.close()
파일 쓰기
텍스트 파일에 데이터를 쓰려면 파일을 쓰기 모드로 열어야 합니다. 아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 파일 열기 (쓰기 모드)
file = open("example.txt", "w")
# 파일에 데이터 쓰기
file.write("안녕하세요, 파일 입출력 예제입니다.")
# 파일 닫기
file.close()
이진 파일 입출력
이진 파일은 텍스트 파일과는 달리 바이너리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진 파일을 다룰 때는 rb (읽기 모드) 또는 wb (쓰기 모드)와 같은 모드를 사용합니다.
이진 파일 읽기
# 이진 파일 열기 (읽기 모드)
binary_file = open("example.bin", "rb")
# 이진 데이터 읽기
binary_data = binary_file.read()
print("이진 파일 내용:", binary_data)
# 파일 닫기
binary_file.close()
이진 파일 쓰기
# 이진 파일 열기 (쓰기 모드)
binary_file = open("example.bin", "wb")
# 이진 데이터 쓰기
binary_file.write(b'\x48\x65\x6c\x6c\x6f\x20\x57\x6f\x72\x6c\x64') # "Hello World"의 바이너리 데이터
# 파일 닫기
binary_file.close()
파이썬을 사용하여 텍스트 파일과 이진 파일을 다루는 기초적인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파일 입출력은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므로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더 복잡한 파일 다루기와 관련된 주제들도 학습하면 유용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Python > Python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모듈의 개념과 활용 (0) | 2024.01.28 |
---|---|
파이썬 : 예외 처리와 오류 핸들링 (1) | 2024.01.27 |
파이썬 : 내장 함수와 메소드 (0) | 2024.01.24 |
파이썬 : 리스트, 튜플, 세트, 딕셔너리 (0) | 2024.01.22 |
파이썬 : 캡슐화와 추상화 (0) | 202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