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ode.js와 Express의 핵심인 메소드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app.use()
이 메소드는 마치 초상화를 그리는 작업과 비슷합니다. 미들웨어를 마운트할 수 있어 요청 전처리에 적합합니다. 인증이나 로깅과 같은 작업을 처리할 때, app.use()는 매우 유용합니다.
app.use(bodyParser.json());
app.use(cors());
2. app.get() 및 app.post()
다음은 app.get() 및 app.post() 메소드입니다. 이 두 메소드는 라우팅을 담당하며, 어떻게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할지를 결정합니다. app.get()은 GET 요청을 다루고, app.post()는 POST 요청을 처리합니다.
app.get('/home', (req, res) => {
res.send('홈 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app.post('/login', (req, res) => {
// 사용자 로그인 로직 처리
});
3. app.param()
app.param() 메소드를 사용하여 동적인 라우트를 다뤄봅시다. 이 메소드는 매개변수 처리를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동적인 응답을 만들 수 있습니다.
app.param('userId', (req, res, next, id) => {
// userId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옴
req.user = getUserById(id);
next();
});
app.get('/profile/:userId', (req, res) => {
res.send(`${req.user.name}님, 환영합니다!`);
});
4. app.use()
app.use()가 다시 등장합니다. 이번에는 사용자 정의 미들웨어를 생성하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이 메소드를 사용하면 요청-응답 주기에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 정의를 할 수 있습니다.
const customMiddleware = (req, res, next) => {
// 사용자 정의 로직을 여기에 추가
next();
};
app.use('/api', customMiddleware);
이번에는 에러 핸들링을 위한 미들웨어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를 통해 요청-응답 주기 중에 발생한 에러를 캐치할 수 있습니다.
app.use((err, req, res, next) => {
console.error(err.stack);
res.status(500).send('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728x90
반응형
'Node.js > Node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MongoDB와의 통합 예제 (0) | 2023.12.11 |
---|---|
Node.js : 모듈 (0) | 2023.12.11 |
Express.js 기초 튜토리얼 (0)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