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Java이론

접근 제한자

by P_eli 2023. 10. 25.
728x90
반응형

접근 제한자 (Access Modifiers)

자바 프로그래밍에서 접근 제한자는 클래스, 필드, 메서드 및 다른 멤버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접근 제한자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코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왜 접근 제한자가 필요한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가 커지고 복잡해질수록 코드의 관리와 보안이 더 중요해집니다. 이때, 접근 제한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합니다.

  1. 캡슐화 (Encapsulation):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의 기본 원칙 중 하나로, 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로 묶어 외부로부터 은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접근 제한자를 사용하면 클래스의 내부 구현을 숨기고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2. 보안: 민감한 데이터나 메서드에 대한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3. 모듈화: 코드를 모듈로 나누고 각 모듈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렇게 하면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할 때 각 모듈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자바의 네 가지 주요 접근 제한자

  1. public: 가장 넓은 범위를 가지며,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합니다. 클래스, 메서드, 필드 등을 public으로 선언하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습니다.
  2. protected: 동일 패키지 내에서는 접근이 가능하며, 다른 패키지에서는 상속받은 하위 클래스에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3. default (package-private): 아무 접근 제한자도 명시하지 않을 때의 기본 값이며, 동일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4. private: 가장 제한적인 범위를 가지며, 동일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다른 클래스에서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예시

public class MyClass {
    public int publicField;
    protected int protectedField;
    int defaultField;
    private int privateField;

    public void publicMethod() {
        // ...
    }

    protected void protectedMethod() {
        // ...
    }

    void defaultMethod() {
        // ...
    }

    private void privateMethod() {
        // ...
    }
}

예제 코드입니다.

class Student1
{
    String name;
    int age;
}

class Student2
{
    public String name;
    private int age; // private 멤버 변수
    
    public Student2(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int getAge() // Getter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Setter
    {
        if (age < 0 || age > 150) // 유효성 검사
        {
            System.out.println("나이가 부적절합니다.");
            this.age = 0;
            return;
        }
        this.age = age;
    }
}

public class PrivateUs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1 student1 = new Student1();
        student1.name = "김철수"; // 멤버 변수에 직접 접근
        student1.age = 15;		// 멤버 변수에 직접 접근
        System.out.printf("%s의 나이는 %d살입니다.\n", 
                          student1.name, student1.age);    
        
        Student2 student2 = new Student2("안준호", 20);
        student2.setAge(-10); // Setter 를 사용한 접근
        int age = student2.getAge();
        System.out.printf("%s의 나이는 %d살입니다.\n",
                          student2.name, age);    
    }
}

실행 결과

 

어떤 접근 제한자를 선택해야 하는가?

적절한 접근 제한자를 선택하는 것은 코드의 가독성, 유지보수성, 보안 등을 고려한 설계 결정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 원칙을 따릅니다:

  • 가능한 제한적으로 사용: 최소한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캡슐화를 유지하고 객체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 간에는 보다 제한적인 접근을 사용: 상속 시에는 부모 클래스의 멤버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 패키지 외부에서 사용해야 하는 멤버에 대해서만 public 접근 제한자를 사용: 라이브러리와 API의 일부로 사용되는 멤버에만 public을 사용하고 내부 구현은 숨깁니다.

접근 제한자는 자바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개발자가 코드를 구조화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적절한 접근 제한자를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개발하면 유지보수가 더 쉬워지고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Java > Java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스의 상속  (1) 2023.10.29
스태틱  (0) 2023.10.26
생성자  (1) 2023.10.25
오버로딩  (0) 2023.10.23
객체와 클래스  (1) 2023.10.21